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 대학생, 대학원생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사업은 많은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이지만, 신청 과정에서 다양한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청 자격, 서류 제출, 지원 절차 등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을 정리했습니다.. 이를 통해 신청 시 발생할 수 있는 혼선을 줄이고, 원활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청년몽땅 정보통 학자금대출이자 지원 신청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공고일 이후 주소지가 변경되면 지원이 가능한가요?
A: 신청 후 지방으로 이사를 가더라도 지원은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 지방자치단체에서 동일한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을 받을 경우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서울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군 입대자의 경우 신청이 가능한가요?
A: 군 입대자의 경우 이자 면제 대상이므로 발생 이자가 없습니다. 따라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에 연령 제한이 있나요?
A: 연령 제한은 없습니다. 다만, 졸업 후 5년 이내까지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청년몽땅정보통 신청 과정에서 한국장학재단 ID 입력이 필요한가요?
A: 네, 한국장학재단 ID 입력이 필요합니다.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는 경우에도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에서 '서비스이용자정보수정' 메뉴를 통해 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자 지원의 한도가 있나요?
A:
- 소득 1~7분위 및 다자녀 가구: 발생 이자 전액 지원
- 소득 8분위 이상: 예산 범위 내에서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심의위원회에서 지원 범위를 결정
서류 심사 후 타지역으로 전입하면 지원받을 수 있나요?
A: 서류 심사 후 타지역으로 주소지가 변경되더라도 서울시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하지만 타 지방자치단체에서 중복 지원을 받을 경우, 서울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졸업한 지 5년이 넘었지만 다시 대학에 입학한 경우 신청할 수 있나요?
A: 기존 대학 졸업 후 5년이 지난 경우 해당 대학의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은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대학에 입학하여 학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에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기간 중 졸업할 경우, 재학생으로 신청해야 하나요?
A: 신청 기준은 2024년 하반기의 학적 상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하반기 재학생이었다면 재학생으로 신청하고, 졸업 예정 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다만, 신청일 기준 제적 또는 퇴학 상태라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0년에 학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 소득 구간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A: 학자금 대출 당시의 소득 구간은 한국장학재단에서 제공한 정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일반상환대출 등으로 소득 분위 정보가 없는 경우,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제출하여 2024년 기준으로 소득분위를 산정하게 됩니다.
수료생은 재학생인가요, 졸업생인가요?
A: 시행규칙 개정(2023.1.12.)에 따라 수료생은 졸업생으로 간주됩니다.
다자녀 가구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다자녀 가구는 본인 또는 부모가 2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거나 입양하여 양육하는 가구를 의미합니다. 본인이 2명 이상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본인 기준으로, 본인의 형제자매가 2명 이상인 경우 부모님 기준으로 가족관계증명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생활비 대출도 지원 대상에 포함되나요?
A: 네, 일반 상환 및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인 경우 생활비 대출도 포함됩니다. 하지만 무이자 대출을 받은 경우에는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신청을 매번 해야 하나요?
A: 네, 신청해야 합니다.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사업은 연 2회(상반기와 하반기) 신청할 수 있으며, 상반기는 1월 중순~3월 초, 하반기는 7월 중순~9월 초에 신청 접수를 받습니다.



2025년 2~3월에 발급한 재학증명서도 인정되나요?
A: 네, 2025년 2~3월에 발급된 재학증명서도 인정됩니다. 이는 2024년 2학기 동안 재학(또는 6학기 이내 휴학)한 사실을 증명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2024년 2학기 재학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2024년 9~12월에 발급한 재학증명서는 인정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A: 학기 도중 퇴학 또는 제적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2024년 9~12월에 발급된 재학증명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공고일 이후 발급된 재학증명서 등 다른 서류로 대체하여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 02-120
- 한국장학재단: ☎ 1599-2000
- 더 자세한 정보는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대학생 학비 절감 꿀팁! 국가장학금, 학자금 대출, 생활비 지원 총정리
대학교 등록금과 생활비 부담은 많은 대학생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다양한 장학금 제도, 학자금 대출, 생활비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경제적 부담을 효과적
eco.economical-life.com
대학생이라면 필수! 2025 주거안정 장학금 신청 가이드
2025년 새롭게 도입되는 주거안정 장학금은 원거리 대학에 다니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학생들에게 월 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경제적 부담을 덜고 학업에 전념할
eco.economical-life.com
2025년 근로 장학금, 저소득 대학생을 위한 학비 마련 기회 확대
2025년 근로 장학금은 저소득 대학생들이 학비와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하며 실질적인 근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 지원 장학제도입니다.정부는 지원 대상 확대와 근로 환경 개선을
eco.economical-life.com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vs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비교 및 차이점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서울시와 정부에서 각각 청년월세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두 지원 사업은 지원 대상, 신청 조건, 지원 금액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조건에 맞는
eco.economical-life.com
'학생 & 청년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대학생, 대학원생 학자금대출이자 지원 신청 방법, 기간, 서류 및 조건 (0) | 2025.02.18 |
---|---|
서울시 학자금대출 신용회복 지원사업 신청 방법, 기간, 서류 및 조건 (0) | 2025.02.17 |
국가근로장학금 휴학 시 근로 가능 기간 및 주의사항 (0) | 2025.02.07 |
매 학기 국가근로장학금 신청 필요할까? (0) | 2025.02.07 |
국가근로장학금 출근부 입력 방법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