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적금 & 카드 & 대출

2025 청년도약계좌 소득 조건 및 가입 조건, 나도 가입할 수 있을까?

by sjration 2024. 11. 27.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정부 지원 금융상품으로, 가입자의 소득 조건에 따라 기여금 혜택이 달라집니다.
특히 2025년부터 제도가 개선되며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메뉴얼 다운로드.pdf
3.24MB


하지만 본인이 가입 자격에 해당하는지, 또는 얼마나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이번 글에서 청년도약계좌의 소득 조건과 기여금 계산 방법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소득 조건 및 가입 조건 나도 가입할 수 있을까?

 

청년도약계좌 가입 소득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소득가구 소득 두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1. 개인 소득 조건

 

총 급여 또는 종합소득 금액에 따라 가입 자격이 달라집니다.

 

세부 기준

 

  • 총 급여 기준
    •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포함.
    • 비과세 소득(군장병급여, 실업급여 등)만 있는 경우는 제외.
  • 종합소득 기준
    • 종합소득 과세표준에 포함되는 금액이 6,300만 원 이하.
    • 근로소득 외 추가 수입이 있더라도 위 기준을 넘지 않으면 가입 가능.

 

2. 가구 소득 조건

 

가구 소득은 중위소득 250% 이하를 기준으로 합니다.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 위치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예상표

 

가구원 수 100% 중위소득 250% 중위소득
1인 2,228,445 원 5,571,113 원
2인 3,682,609 원 9,206,523 원
3인 4,714,657 원 11,786,643 원
4인 5,729,913 원 14,324,783 원
5인 6,695,735 원 16,739,338 원

 

 

▼▼ 보건복지부 기준 중위소득 확인 상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가구 소득 계산법

 

가구 소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본인 소득 + 배우자 소득 + 부양가족 소득) ÷ 가구원 수

 

3. 금융소득 조건

 

금융소득이 높은 경우 가입 제한

  •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라도 연간 금융소득 합계 2,000만 원 초과 시 가입 불가.
    • 예) 예금 이자, 주식 배당 등.

 

 

내가 받을 수 있는 기여금은 얼마나 될까?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개인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아래 표를 통해 소득별 월 기여금 지급 한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별 기여금 비율 및 지급 한도

소득 구간 (총 급여 기준) 본인 납입 한도 정부 기여금 지급 한도 매칭 비율 월 기여금
2,400만 원 이하 70만 원 40만 원 6.0% 24,000 원
3,600만 원 이하 70만 원 50만 원 4.6% 23,000 원
4,800만 원 이하 70만 원 60만 원 3.7% 22,000 원
6,000만 원 이하 70만 원 70만 원 3.0% 21,000 원

 

 

최대 9.45%! 2025 청년도약계좌 혜택 완벽 정리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특별한 금융상품으로 최대 연 9.45%의 적금 효과를 제공하며, 고금리 정기적금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매력적입니다.특

eco.economical-life.com

 

가입 자격 확인과 계산 방법

 

1. 개인 소득 확인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 또는 종합소득 금액을 기준으로 확인합니다.
  • 연말정산 자료, 급여 명세서 등을 통해 소득을 확인하세요.

 

2. 가구 소득 확인

 

  •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250%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 예) 4인 가구의 경우 14,324,783원 이하라면 가입 가능.

 

3. 내가 받을 기여금 계산하기

 

본인의 소득 구간과 매칭 비율을 기준으로 계산하세요.
예) 총 급여 2,000만 원인 청년이 매월 70만 원을 납입할 경우:

  • 기여금 계산
    • 납입액 70만 원 × 매칭 비율 6.0% = 월 24,000원
    • 연간 기여금: 24,000원 × 12개월 = 288,000원

 

 

가입 시 알아야 할 유의사항

 

1. 중도해지 시 혜택 손실

 

  •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과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 2025년부터 부분 인출 가능:
    • 가입 후 2년 이상 경과 시 누적 납입액의 40%까지 인출 가능.

 

2. 가입 조건 만족 필수

 

  • 증빙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세요.
    • 소득 증빙: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등.
    • 가구원 소득 증빙: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 서류 누락이나 조건 미충족 시 가입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3. 소득 구간별 혜택 차이

 

  • 소득이 낮을수록 더 높은 매칭 비율을 적용받습니다.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라면 최대 6.0% 매칭 비율을 누릴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하세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적인 자산형성을 위해서 진행하는 청년정책 중 하나입니다.만기 5년(60개월)을 꼭 채워야만 한다는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완납을 하게 되면 매월 최대 6%

eco.economical-life.com

 

이런 청년이라면 반드시 가입하세요!

 

1. 저소득 청년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일 경우 정부 기여금 혜택이 극대화됩니다.
  • 월 70만 원 납입 시 월 24,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장기 저축 가능한 청년

 

  • 계좌를 5년 만기까지 유지해야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분 인출 제도를 활용하면 중도해지 없이도 자금을 유연하게 활용 가능.

 

3. 자산 형성을 시작하려는 청년

 

  •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위소득 청년도 기여금과 적금 효과를 통해 효율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

 

청년도약계좌는 소득 조건에 따라 혜택이 달라지는 맞춤형 금융 상품입니다.
본인의 소득과 가구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정부의 자산 형성 지원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보세요.

2025년에는 더 유리한 조건으로 자산을 모을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 전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청년도약계좌 가입 소득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A1. 개인 소득 기준은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입니다. 또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25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면 가입이 제한됩니다.

Q2. 가구 소득 기준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2. 가구 소득은 본인과 배우자, 부양가족의 소득을 합산한 뒤 가구원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중위소득 250% 기준은 연 14,324,783원입니다.

Q3. 정부 기여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A3. 소득 구간에 따라 납입 금액의 일정 비율(3.0%~6.0%)로 매칭되어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총 급여가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매칭 비율이 6.0%로, 월 70만 원 납입 시 월 최대 24,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Q4. 중도해지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A4. 중도해지 시 정부 기여금과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2025년부터는 가입 후 2년 이상 경과 시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까지 부분 인출이 가능해 해지 없이 자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5.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하나요?

A5. 소득 증빙을 위해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소득금액증명원을 준비해야 합니다. 가구 소득 증빙을 위해 주민등록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도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