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등 이직자 취업취약계층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sjration 2025. 1. 17. 00:07목차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중에서는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이직자에게 취업 지원 서비스 및 경제적 지원을 통해 새로운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혜택이 있습니다. 산업 구조조정이나 경제 상황 악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실업자들이 재취업 및 직업훈련을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중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의 이직자에 대한 선정 기준, 필요 서류, 신청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등 이직자 선정 기준
1) 고용위기지역 이직자
- 고용위기지역 지정 고시에 따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기간의 12개월 전부터 지정 종료일 사이에 해당 지역 내 사업장에서 퇴사한 이력이 있는 사람
- 퇴사 이후 현재 실업 상태인 사람
2) 고용재난지역 이직자
- 고용재난지역 지정 고시에 따라 고용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기간의 12개월 전부터 지정 종료일 사이에 해당 지역 내 사업장에서 퇴사한 이력이 있는 사람
- 퇴사 이후 현재 실업 상태인 사람
2. 주요 지원 혜택
1)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 직업 상담 및 경력 개발 프로그램 제공
- 직업훈련 및 일경험 프로그램 지원
- 구직활동 지원 및 이력서 컨설팅
2) 경제적 지원
- 참여수당: 월 최대 15만 원 지급
- 참여장려수당: 고용센터 방문 상담 시 1회 2만 원 지급(월 최대 3회)
- 훈련참여지원수당: 직업훈련 참여 시 월 최대 28만 4,000원 지급
3. 제출서류
- 필수 제출서류 없음
※ 고용센터 및 관련 기관에서 퇴사 이력과 실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필요 서류 및 신청서 작성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생계 안정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원활히 신청하기 위해서는 필수 제출 서류를 정확히 준비하고, 신청서 작성 방법 및 제출 절차를 이해하는 것
eco.economical-life.com
4. 신청 방법
1) 구직 등록
- 고용24 워크넷(https://www.work24.go.kr)에서 구직 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
- 이력서 작성 및 개인정보 입력 필수
▼▼ 고용24 국민취업제도 신청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2) 취업지원 신청
- 온라인 신청: 고용24 국민취업지원제도 페이지에서 취업지원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오프라인 신청: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후 서류 제출 및 상담
3) 신청 절차
- 구직 등록 및 신청서 제출
- 수급자격 심사 및 결과 통보
- 취업활동계획 수립 및 프로그램 참여
- 취업 연계 및 지원 서비스 제공
5. 유의사항 및 팁
1) 지정된 지역 확인
- 본인이 퇴사한 사업장이 고용위기지역 또는 고용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사업장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지원 서비스 활용
- 직업훈련이나 일경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취업 역량 강화를 추천합니다.
3) 적극적인 구직활동
- 지원 혜택을 지속적으로 받기 위해 취업활동계획에 따른 구직활동 의무를 반드시 이행해야 합니다.
6. 결론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이직자는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재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고용24 국민취업지원제도 페이지에서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직업훈련 및 구직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 기회 확대를 노려보세요. 고용센터의 지원을 받아 안정적인 직업 복귀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총정리 : 참여 대상 및 혜택 소개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저소득층 구직자를 위한 생계 지원과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실업부조입니다. 이 제도는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eco.economical-life.com
2025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희소식입니다! 2025년에도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혜택이 지속됩니다. 이 제도는 청년 근로자의 소득세 부담을 줄이고,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eco.economical-life.com
실업급여 조기 재취업 시 조기 재취업수당 지급 조건과 신청 방법
조기재취업수당은 실업급여 수급자가 빠르게 재취업하여 고용보험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고 재취업을 한 수급자에게 지급되는 혜택입니다. 이 글에서
eco.economical-life.com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이직자 FAQ
Q1.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이직자로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 참여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A1. 고용위기지역 또는 고용재난지역으로 지정된 기간의 12개월 전부터 지정 종료일 사이에 해당 지역 내 사업장에서 퇴사한 후 현재 실업 상태인 경우 참여할 수 있습니다.
Q2.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서 제공하는 주요 지원 혜택은 무엇인가요?
A2. 직업 상담 및 경력 개발 프로그램, 직업훈련 및 일경험 프로그램, 구직활동 지원 및 이력서 컨설팅을 받을 수 있으며, 참여수당 및 훈련참여지원수당 등의 경제적 지원도 제공합니다.
Q3. 제출해야 할 서류는 무엇인가요?
A3. 필수 제출서류는 없으며, 고용센터 및 관련 기관을 통해 퇴사 이력과 실업 상태를 확인합니다.
Q4.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 여부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A4.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고용센터를 통해 고용위기지역 및 고용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5. 고용24 워크넷을 통해 구직 등록을 완료한 후, 온라인으로 취업지원 신청서를 제출하거나,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서류를 제출하고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Q6. 신청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A6. 구직 등록 및 신청서 제출 후 수급자격 심사 및 자격 인정 통보가 이루어지며, 이후 취업활동계획 수립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Q7. 참여수당 및 훈련참여지원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A7. 취업활동계획에 따른 구직활동 및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성실히 참여해야 참여수당 및 훈련참여지원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8. 참여 중 소득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8. 프로그램 참여 중 소득이 발생하면 반드시 고용센터에 신고해야 하며, 미신고 시 지원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Q9. 직업훈련 프로그램은 어떤 과정으로 참여할 수 있나요?
A9. 고용센터 상담을 통해 개인 맞춤형 직업훈련 과정을 추천받아 참여할 수 있습니다. 훈련 과정은 고용노동부 지정 교육기관에서 진행됩니다.
Q10. 고용위기지역 이직자가 아닌 경우에도 비슷한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A10. 네, 다른 취약계층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을 통해 다양한 취업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조건에 맞는 지원 여부를 고용센터에서 상담해 보세요.
'지원금 & 정책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에 따른 참여자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일자리안정자금 지원요건에 해당하는 이직자 취업취약계층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7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산업재해로 장해를 입은 사람 취업취약계층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6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대학교(대학원) 졸업예정자 취업 취약계층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6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 구직단념청년 취업 취약계층 선정 기준, 필요 서류 및 신청 방법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