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소득 판정 기준표를 통해 가구원 수별 소득 기준과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가구에 따라 다르며, 소득 수준에 따른 정부 복지 지원 정책 자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도 활용되니 꼭 확인해보세요.

기준 중위소득 52% ~ 200% 건강보험료 판정 기준표
기준 중위소득 52%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2,557,000 | 91,765 | 54,380 | 93,650 |
4인 | 3,105,000 | 114,032 | 81,272 | 117,158 |
5인 | 3,606,000 | 132,865 | 100,570 | 135,902 |
기준 중위소득 60%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2,952,000 | 105,318 | 63,452 | 106,734 |
4인 | 3,582,000 | 126,884 | 92,834 | 129,765 |
5인 | 4,159,000 | 148,328 | 110,645 | 151,492 |
기준 중위소득 65%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3,197,000 | 113,565 | 69,452 | 115,248 |
4인 | 3,874,000 | 138,965 | 101,432 | 142,306 |
5인 | 4,504,000 | 160,487 | 121,250 | 165,392 |
기준 중위소득 70%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3,442,000 | 121,685 | 75,965 | 123,529 |
4인 | 4,166,000 | 149,874 | 110,643 | 153,278 |
5인 | 4,849,000 | 171,365 | 133,278 | 175,685 |
기준 중위소득 75%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3,770,000 | 134,515 | 66,840 | 135,526 |
4인 | 4,574,000 | 162,833 | 102,197 | 164,503 |
5인 | 5,332,000 | 191,269 | 133,680 | 193,782 |
기준 중위소득 100%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5,031,000 | 180,572 | 120,321 | 183,428 |
4인 | 6,031,000 | 215,933 | 151,146 | 219,196 |
5인 | 7,039,000 | 247,265 | 187,320 | 251,842 |
기준 중위소득 200%
가구원 수 | 소득 기준 (원) | 직장가입자 (원) | 지역가입자 (원) | 혼합 (원) |
---|---|---|---|---|
3인 | 10,051,000 | 369,517 | 337,782 | 386,684 |
4인 | 12,196,000 | 461,699 | 447,279 | 506,004 |
5인 | 14,217,000 | 506,004 | 496,008 | 552,230 |
연봉별 건강보험료 계산 예시
연봉 (원) | 건강보험료 (원) | 장기요양보험료 (원) |
---|---|---|
40,000,000 | 111,070 | 14,380 |
50,000,000 | 140,610 | 18,210 |
60,000,000 | 170,160 | 22,030 |
70,000,000 | 199,700 | 25,860 |
80,000,000 | 229,240 | 29,680 |
결론
2025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를 통해 가구원 수별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가구는 본인의 소득 수준과 보험료를 비교하여 정부 복지 서비스 신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가구 여부에 따라 건강보험료는 달라질 수 있으며, 신청 전 본인의 소득과 보험료를 정확히 계산해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기준 중위소득 2025년, 복지 혜택 수급 기준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의 복지 정책과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데 필수적인 기준입니다.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하며, 매년 보건복지부 장
eco.economical-life.com
기초연금 모의계산 : 수급자격 및 신청 방법, 신청 서식 완벽 가이드
기초연금은 노년층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마련된 중요한 복지제도입니다. 특히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이라면 누구나 기초연금 수급 자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노후 생활의 경제적 부담을
eco.economical-life.com
다자녀 및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장학금 혜택과 신청 가이드
국가장학금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며, 다자녀 가구와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추가 혜택이 주어집니다. 이 글에서는 다자녀 및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장학
eco.economical-life.com
의료급여 수급권자 뜻, 선정 기준과 신청 방법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저소득층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국가가 지원하는 복지 제도인 의료급여를 받을 수 있는 대상자를 뜻합니다. 의료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등 법령에 근
eco.economical-life.com
2025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 FAQ
Q1. 기준 중위소득 60%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는 얼마인가요?
A1. 2025년 기준, 4인 가구의 경우 소득 3,582,000원일 때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 126,884원, 지역가입자 92,834원, 혼합가구 129,765원입니다.
Q2.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의 보험료 산정 방식이 다른가요?
A2. 네, 직장가입자는 소득에 따라 산정되며, 지역가입자는 소득, 재산, 자동차 소유 등을 종합하여 산출됩니다.
Q3. 기준 중위소득 100%는 어떤 소득 기준을 의미하나요?
A3. 기준 중위소득 100%는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6,031,000원입니다. 이 경우 직장가입자는 215,933원, 지역가입자는 151,146원의 건강보험료를 부담합니다.
Q4. 혼합가구란 무엇인가요?
A4. 혼합가구는 한 가구 내에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동시에 포함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Q5. 기준 중위소득 200%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A5. 기준 중위소득 200%는 기준 중위소득의 2배로,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12,196,000원입니다.
Q6. 연봉으로 건강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나요?
A6. 네, 연봉을 12개월로 나눈 월 소득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봉 50,000,000원인 경우 건강보험료는 약 140,610원입니다.
Q7.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정부 복지 서비스 신청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7.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정부 복지 서비스는 주로 기준 중위소득 50~10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각 가구의 소득 기준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달라집니다.
Q8. 기준 중위소득 대비 건강보험료는 매년 변동되나요?
A8. 네, 기준 중위소득과 건강보험료율은 매년 보건복지부의 고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Q9. 노인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포함되나요?
A9. 노인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와 별도로 산출되며, 건강보험료의 일정 비율을 추가로 납부합니다.
Q10. 가구원 수가 변동되면 보험료가 달라지나요?
A10. 네,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 금액과 건강보험료가 달라지므로, 가구원 변동 시 다시 산출해야 합니다.
'경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기간 및 절차 총정리 : 절약도 하고 현금도 받는 방법! (0) | 2025.02.04 |
---|---|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완벽 가이드! 겨울 난방비 아끼고 현금까지 받자 (0) | 2025.02.04 |
장기요양보험이란? 2025년 건강보험료율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알아보기 (0) | 2025.01.11 |
2025년 최저임금 계산기 : 연봉과 월급 비교하기 (0) | 2024.12.26 |
2025년 최저임금 계산기 : 초과근무 수당 포함 계산법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