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은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특정계층, 청년, 중·장년층 등 다양한 구직자를 대상으로 폭넓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유형 참여자는 취업활동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맞춤형 훈련과 상담을 통해 취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일부 수당과 지원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의 지원 대상, 조건, 신청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지원 대상 및 조건
▼▼ 고용24 국민취업제도 2유형 상세 지원 대상 안내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1) 기본 지원 대상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은 소득 및 재산 기준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폭넓게 지원합니다.
2) 구체적 지원 대상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은 특정계층, 청년, 중·장년층으로 나뉩니다.
가. 특정계층 (총 22개 취업 취약계층)
- 기초생활수급자(생계급여 제외)
- 노숙인 등 비주택 거주자
- 북한이탈주민
- 신용회복지원자
-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 자녀(중도입국)
- 위기청소년, 구직단념청년
- 여성가구주
- 국가유공자 가구원 중 취업지원 대상자
- 노무제공자, 건설일용직
- FTA 피해 실직자
- 미혼모(부), 한부모, 청소년부모
- 기초연금 수급자
- 영세자영업자
- 산업재해 장해자
- 고용위기지역·고용재난지역 이직자
- 일자리안정자금 지원요건 이직자
- 중·장년 구조조정 참여자
- 특별고용지원업종 실직자
-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
나. 청년층
- 나이: 만 15세 ~ 34세
- 소득 및 재산: 제한 없음
- 취업 경험: 무관
-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병역기간만큼 나이 기준을 최대 37세까지 연장 가능
다. 중·장년층
- 나이: 만 35세 ~ 69세
- 소득: 중위소득 100% 이하(4인 가구 기준 월 6,097,000원 이하)
- 재산: 제한 없음
- 취업 경험: 무관
2.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혜택 및 지원 내용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참여자는 취업활동 지원비보다는 취업 지원 서비스를 통한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1) 취업지원서비스
- 취업 상담 및 직업 심리검사
-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법 교육, 면접 코칭 등
- 직업훈련 및 일경험 프로그램 제공
- 복지서비스 연계: 일자리 정보 제공 및 맞춤형 취업 연계
2) 취업활동비용 지원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참여자는 취업활동 및 훈련 시 다음과 같은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가. 참여수당
- 대상: 취업지원서비스에 참여해 취업활동계획(IAP)을 수립한 참여자
- 금액: 기본 15만 원 + 프로그램에 따라 3만~10만 원 추가 지급
- 용도: 식비, 교통비 등
나. 훈련참여 지원수당
- 대상: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경우
- 금액: 1일 18,000원(월 최대 284,000원)
- 지급기간: 최대 6개월까지 지원
- 조건: 훈련 출석률 80% 이상일 경우 지급
다. 참여장려수당
- 대상: 고용센터 또는 위탁기관에서 취업 상담을 받고 일자리 소개를 받은 참여자
- 금액: 월 2만 원, 최대 3회 지급(총 6만 원)
- 조건: 상담일은 최소 30분 이상 진행되어야 함



3.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신청 방법
▼▼ 고용24 국민취업제도 신청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1) 신청 절차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 참여하려면 다음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1. 구직 등록
- 온라인 등록: 워크넷(www.work.go.kr)에서 구직 등록 필수
- 고용센터 방문 등록: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서도 구직 등록 가능
2. 취업지원 신청
- 온라인 신청: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www.kua.go.kr)에서 신청
- 오프라인 신청: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후 신청서 제출
3. 수급자격 심사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수급자격 조사 및 심사를 진행합니다.
4. 결과 통보
심사 완료 후 1개월 이내에 수급자격 승인 여부를 통보받습니다.
4. 제출서류
1) 필수 제출 서류
- 취업지원 신청서(별지 제1호 서식)
- 개인정보 및 고유식별정보 제공 동의서(가구원 포함)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 취업지원서비스 및 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 조사 확인서
2) 추가 제출 서류
- 가구단위 증명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이혼소송 확인서, 실종신고서 등
- 특정계층 증명서류: 추천서, 확인서 등(해당 기관 발급)
- 소득 및 재산 증명서류: 사업자등록증, 매출증명서, 소득금액증명원 등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필요 서류 및 신청서 작성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생계 안정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원활히 신청하기 위해서는 필수 제출 서류를 정확히 준비하고, 신청서 작성 방법 및 제출 절차를 이해하는 것
eco.economical-life.com
5.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참여 불가 조건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취업 중인 자
- 단, 주 30시간 미만 근로자 및 사업소득 월 250만 원 미만인 자는 참여 가능
- 구직급여 수급 중이거나 수급 종료 후 6개월 미만인 자
- 생계급여 수급자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 중이거나 종료 후 6개월 미만인 자
- 구직활동 지원 수당을 수급 중이거나 종료 후 6개월 미만인 자
- 상급학교 재학 중인 자(취업 목적 직업훈련생은 예외)
6. 결론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은 소득이나 재산 조건에 얽매이지 않고 특정계층, 청년, 중·장년층에게 폭넓게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특정계층으로 지정된 대상자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고용 위기 상황을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이므로, 해당 요건에 해당된다면 반드시 참여해 보세요.
신청 전 워크넷 등록 및 필수 서류를 꼼꼼히 준비하여 빠르게 신청 절차를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문의가 필요할 경우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로 연락해 도움을 받으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총정리 : 참여 대상 및 혜택 소개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저소득층 구직자를 위한 생계 지원과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실업부조입니다. 이 제도는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eco.economical-life.com
2025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희소식입니다! 2025년에도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혜택이 지속됩니다. 이 제도는 청년 근로자의 소득세 부담을 줄이고,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eco.economical-life.com
실업급여 조기 재취업 시 조기 재취업수당 지급 조건과 신청 방법
조기재취업수당은 실업급여 수급자가 빠르게 재취업하여 고용보험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고 재취업을 한 수급자에게 지급되는 혜택입니다. 이 글에서
eco.economical-life.com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FAQ
Q1.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은 어떤 지원을 받나요?
A1.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참여자는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코칭, 면접 연습), 직업훈련 및 일경험 기회, 참여수당 및 훈련참여 지원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2.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의 주요 대상은 누구인가요?
A2. 주요 대상은 특정계층(기초생활수급자, 노숙인, 북한이탈주민 등), 청년(만 15세~34세), 중·장년층(만 35세~69세)입니다. 소득 및 재산 제한이 없어 다양한 구직자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Q3. 참여수당과 훈련참여 지원수당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A3. 참여수당은 기본 15만 원이며, 취업활동계획(IAP)을 이행하면 프로그램에 따라 추가 3~10만 원이 지급됩니다. 훈련참여 지원수당은 1일 18,000원, 월 최대 284,000원이 지급됩니다.
Q4.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의 연령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4. 청년은 만 15세~34세, 중·장년층은 만 35세~69세가 대상입니다. 병역 이행자의 경우 병역 기간만큼 최대 만 39세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Q5.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참여 시 소득 및 재산 기준이 있나요?
A5. 대부분의 경우 소득 및 재산 기준은 적용되지 않지만, 중·장년층의 경우 중위소득 100% 이하(4인 가구 기준 월 6,097,000원 이하) 조건이 있습니다.
Q6.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A6. 취업 중이거나, 구직급여 수급 중인 경우, 생계급여 수급자,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 중인 경우 등은 참여가 제한됩니다.
Q7. 직업훈련 시 필수 출석률 조건이 있나요?
A7. 직업훈련 참여 시 출석률이 80% 이상이어야 훈련참여 지원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8.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8. 워크넷(www.work.go.kr)에서 구직 등록 후,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www.kua.go.kr)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으로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Q9.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무엇인가요?
A9. 필수 제출서류는 취업지원 신청서, 개인정보 동의서, 가구단위 증명서류, 특정계층 증명서류(해당 시) 등이 있습니다.
Q10. 상담과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필수인가요?
A10.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에서는 프로그램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상담과 프로그램 이행을 통해 참여수당 및 훈련수당 지급 여부가 결정됩니다.
'지원금 & 정책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중장년 지원 : 기준, 자격, 혜택 및 신청 방법 (0) | 2025.01.15 |
---|---|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청년 지원 : 기준, 자격, 혜택 및 신청 방법 (0) | 2025.01.15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소득 기준 계산법 (0) | 2025.01.15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과 2유형 비교 : 자격, 혜택, 신청 방법 (0) | 2025.01.15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청년특례) 기준, 자격, 혜택 및 신청 방법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