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 정책 팁

차상위계층 지원금 혜택 총정리

by sjration 2025. 1. 11.
반응형

차상위계층은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지원사업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층입니다. 해당 계층으로 인정받으면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앙부처_차상위계층_지원사업_안내.pdf
7.18MB

 

 

 

이글에서는 주요 지원금 혜택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하여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차상위계층 지원금 혜택 총정리
차상위계층 지원금 혜택 총정리

 

 

생계 지원 혜택

 

1. 기부식품 제공(푸드뱅크)

  • 대상자: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 탈락자 등
  • 내용: 기부식품 및 생활용품 제공
  • 신청: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2. 양곡 할인

 

  • 대상자: 법정 차상위계층
  • 내용: 정부관리양곡 60%~90% 할인
  • 신청: 주민센터 방문 신청

 

3. 차상위 자활근로

 

  • 대상자: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 내용: 직접 일자리 제공 및 월 약 160만 원 지급
  • 신청: 지자체 주민센터

 

4. 통신요금 감면

 

  • 대상자: 차상위계층
  • 내용: 최대 월 21,500원 통신요금 감면
  • 신청: 복지로 또는 통신사 대리점 방문

 

5. 전기·가스·열요금 지원

 

  • 전기요금: 최대 월 8,000원 감면
  • 도시가스 요금: 동절기 최대 148,000원 지원
  • 열요금: 월 최대 5,000원 감면

 

6. 미소금융 지원

 

  • 대상자: 차상위계층 및 신용평점 하위자
  • 내용: 창업자금, 운영자금 등 최대 7,000만 원 대출
  • 문의: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의료 지원 혜택

 

1. 노인 인공무릎 관절 수술비 지원

  • 대상자: 차상위계층 60세 이상
  • 내용: 한쪽 무릎 기준 최대 120만 원 지원
  • 신청: 보건소 방문

 

2.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 대상자: 건강검진 발달평가 결과 심화평가 권고받은 영유아
  • 내용: 최대 40만 원 지원
  • 신청: 보건소 방문

 

3.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 대상자: 만 9~24세 차상위계층 여성
  • 내용: 연간 13만 원 상당 전자바우처 제공
  •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4.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 대상자: 희귀질환 산정특례 등록자
  • 내용: 간병비, 특수식이 구입비 등 지원
  • 신청: 보건소 방문

 

교육 지원 혜택

 

1. 국가장학금(Ⅰ유형)

  • 대상자: 차상위계층 대학생
  • 내용: 등록금 전액 지원
  • 신청: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2. 대학생 근로장학금

 

  • 대상자: 차상위계층 대학생
  • 내용: 교내 근로 시 시간당 9,860원 지급
  • 신청: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3. 저소득층 유아학비 추가 지원

 

  • 대상자: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차상위계층 유아
  • 내용: 월 최대 20만 원 지원
  • 신청: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4. 평생교육 바우처

 

  • 대상자: 만 19세 이상 차상위계층
  • 내용: 연간 35만 원 지원
  • 신청: 평생교육 바우처 홈페이지

 

 

주거·돌봄 지원 혜택

 

1.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개선

  • 대상자: 차상위계층 및 복지 사각지대 저소득가구
  • 내용: 단열 창호 교체, 보일러 교체 등
  • 신청: 시·군·구 신청

 

2. 가사간병 방문지원

 

  • 대상자: 차상위계층 중 중증질환자 등
  • 내용: 가사 및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 제공
  • 신청: 주민센터 신청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대상자: 차상위계층 출산 가정
  • 내용: 산모 및 신생아 돌봄 서비스
  • 신청: 보건소 방문 신청

 

4. 장애아 가족 양육지원

 

  • 대상자: 중증 장애아 가정
  • 내용: 연 960시간 돌봄 서비스 제공
  • 신청: 주민센터 신청

 

5. 아이돌봄 지원

 

  • 대상자: 차상위계층 자녀가 있는 가정
  • 내용: 시간제 및 종일제 돌봄서비스 지원
  •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문화·법률 지원 혜택

 

1.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 대상자: 차상위계층 6세 이상
  • 내용: 연간 13만 원 지원
  • 신청: 주민센터 방문 또는 문화누리카드 앱

 

2. 스포츠강좌 이용권

 

  • 대상자: 차상위계층 5세~18세 아동·청소년
  • 내용: 월 최대 9만 원 지원
  • 신청: 스포츠강좌 이용권 홈페이지

 

3. 차상위계층 무료 법률 구조사업

 

  • 대상자: 차상위계층 대상자
  • 내용: 민사, 형사 사건 무료 법률지원
  • 신청: 대한법률구조공단 방문

 

지원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정부24
  • 방문 신청: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관련 기관
  • 기타 문의: 해당 부처 및 지자체 담당 부서

 

 

결론

 

차상위계층으로 선정되면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 교육, 의료 등 지원 내용이 폭넓으므로 본인과 가족에게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파악하여 빠르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차상위계층 기준 및 혜택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의 저소득층으로,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를 의미합니다.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와 달리 일정한 재산이나 부양의무자가 있거나

eco.economical-life.com

 

차상위계층 확인방법, 혜택 및 신청 방법 정리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정책 중 하나인 차상위계층 지원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보호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기초생활수급자보다 소득이 약간 높은 빈곤층에 대해

eco.economical-life.com

 

2025년 환경보건이용권 제도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어린이를 위한 환경성 질환 예방

2025년부터 시행되는 환경보건이용권 제도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어린이를 대상으로, 환경성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아토피 피부염, 천식 등 환경성 질환 관리

eco.economical-life.com

 

기준 중위소득 2025년, 복지 혜택 수급 기준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의 복지 정책과 지원 제도를 운영하는 데 필수적인 기준입니다.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하며, 매년 보건복지부 장

eco.economical-life.com

 

차상위계층 지원금 혜택 FAQ

 

Q1. 차상위계층은 어떤 생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1. 차상위계층은 기부식품 제공(푸드뱅크), 정부관리양곡 60%~90% 할인, 자활근로사업 참여, 통신요금 및 전기·가스·열요금 감면 등 다양한 생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2. 의료 지원 혜택에는 어떤 프로그램이 포함되나요?

A2. 의료 지원 혜택으로는 노인 인공무릎 관절 수술비 지원, 영유아 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등이 있습니다.

 

Q3. 차상위계층 대학생이 받을 수 있는 교육 지원은 무엇인가요?

A3. 차상위계층 대학생은 국가장학금(Ⅰ유형) 등록금 전액 지원, 대학생 근로장학금, 평생교육 바우처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Q4. 차상위계층 가정에 제공되는 돌봄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A4. 가사간병 방문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장애아 가족 양육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등이 제공되며, 돌봄 서비스는 주민센터나 보건소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Q5. 문화·체육 분야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인가요?

A5.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연간 13만 원 지원, 스포츠강좌 이용권 월 최대 9만 원 지원 등이 있으며, 주민센터나 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Q6. 차상위계층 대상자를 위한 법률 지원은 무엇인가요?

A6. 대한법률구조공단을 통해 민사, 형사 사건에 대한 무료 법률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7. 전기·가스 요금 감면 혜택은 어떻게 받나요?

A7. 전기요금은 월 최대 8,000원, 도시가스 요금은 동절기 최대 148,000원까지 지원됩니다.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복지로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Q8.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신청 방법은 무엇인가요?

A8. 복지로 홈페이지나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연간 13만 원 상당의 전자바우처가 제공됩니다.

 

Q9. 평생교육 바우처는 누구에게 제공되나요?

A9. 만 19세 이상 차상위계층 성인을 대상으로 연간 35만 원의 교육 바우처가 제공됩니다. 평생교육 바우처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Q10. 차상위계층 지원금을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10. 복지로,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하거나,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해당 부처 및 지자체 담당 부서에 문의하면 추가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