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자)는 경제적 어려움과 취업 경험이 부족한 구직자들에게 구직촉진수당과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요건심사형과 달리, 취업 경험이 부족하거나 전혀 없는 비경제활동자도 일정한 소득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하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의 기준, 자격 요건, 혜택 및 신청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기준 및 자격
1. 연령 기준
- 만 15세~69세: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취업을 희망하는 만 15세 이상, 69세 이하의 구직자가 지원할 수 있습니다.
2. 소득 기준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여야 합니다.
- 예: 2025년 기준 4인 가구 중위소득 60%는 약 3,658,200원입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60% (2025년 기준) |
---|---|
1인 가구 | 1,435,208원 |
2인 가구 | 2,415,872원 |
3인 가구 | 3,110,350원 |
4인 가구 | 3,658,200원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소득 인정액 계산 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의 다양한 복지정책에서 기준이 되는 핵심 지표로,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보건복지부에서 매년 고시하는 기
eco.economical-life.com
3. 재산 기준
- 가구의 재산 합계 4억 원 이하
- 청년(만 15세~34세)의 경우는 5억 원 이하
- 포함 항목: 부동산, 자동차, 금융 자산 등
4. 취업 경험 기준
- 최근 2년 이내 100일 미만 또는 800시간 미만의 취업 경험이 있는 경우
- 취업 경험 없음도 참여 가능하며, 기존 경력이 짧은 경우도 포함
비경제활동자란?
- 지난 일정 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거나 일을 하지 않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혜택
1. 구직촉진수당
- 지원 금액: 월 50만 원(최대 6개월)
- 총 지원 금액: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
- 부양가족 추가 수당: 부양가족 1인당 10만 원 추가 지급(최대 40만 원)
부양가족 요건 | 설명 |
---|---|
미성년자 | 만 18세 이하 (2005년생 기준) |
고령자 | 만 70세 이상 (1954년생 기준) |
중증장애인 |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록증 보유자 |
2. 취업지원서비스
취업 성공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취업 상담 및 코칭: 개인 맞춤형 취업상담 및 취업역량 강화 지원
-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전문 직업상담사의 피드백 제공
- 면접 스킬 및 모의 면접 프로그램: 실전 대비 면접 연습
- 직업훈련 프로그램: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활용한 직업훈련 및 현장 실습
- 복지 연계 서비스: 고용보험 혜택, 공공복지 프로그램 연계
3. 취업성공수당
취업 후 일정 기간 동안 고용을 유지하면 취업성공수당을 지급합니다.
- 취업 후 6개월 유지 시: 50만 원
- 취업 후 12개월 유지 시: 추가 100만 원 지급(총 150만 원)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신청 방법
1. 신청 전 준비 단계
- 워크넷 구직 등록: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하려면 고용24 워크넷(www.work24.go.kr)에 회원가입 후 구직 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 - 동영상 교육 이수: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제도 안내 동영상 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 고용24 국민취업제도 신청 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
2. 신청 절차
온라인 신청
- 국민취업지원제도 전용 홈페이지: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오프라인 신청
-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후 신청서 및 필요 서류 제출
3. 제출서류
필수 제출서류 | 설명 |
---|---|
취업지원 신청서 | 별지 제1호 서식 |
개인정보 수집 및 제공 동의서 | 가구원 포함 모든 개인정보 동의 필요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 공적 자료를 통해 정보 조회 동의서 |
가구소득 및 재산 증빙 서류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
취업 경험 증빙자료(해당 시) |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내역서, 근로계약서 등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시 필요 서류 및 신청서 작성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생계 안정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원활히 신청하기 위해서는 필수 제출 서류를 정확히 준비하고, 신청서 작성 방법 및 제출 절차를 이해하는 것
eco.economical-life.com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참여 불가 대상
- 현재 취업 중인 자:
단, 주 30시간 미만 근로자 또는 월 소득 250만 원 미만의 자영업자는 참여 가능 - 생계급여 수급자: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생계급여를 수급 중인 경우 - 구직급여 수급 중인 자 또는 수급 종료 후 6개월 미만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 중이거나 종료 후 6개월 미만
- 구직활동 관련 수당 수급 중이거나 종료 후 6개월 미만
- 상급학교 재학 중인 자:
대학교, 대학원 등 상급학교 재학 또는 전문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원 수강자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참여 시 주의사항
1. 구직촉진수당 지급 중단 사유
- 구직활동계획(IAP)을 따르지 않는 경우
- 구직활동 프로그램에 불참할 경우
2. 구직촉진수당 감액 사유
- 취업활동계획에 포함된 일부 구직활동만 수행한 경우
3. 구직촉진수당 수급권 소멸
- 지급 중단이 3회 발생하면 수급권이 소멸됩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사례
사례 1. C씨(27세, 3인 가구)
- 소득: 월 150만 원(중위소득 60% 이하 충족)
- 재산: 2억 8천만 원
- 취업 경험: 최근 2년 내 80일 근무 경험
⇒ C씨는 선발형 기준에 충족하여 구직촉진수당 및 취업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2. D씨(31세, 2인 가구)
- 소득: 월 400만 원(중위소득 60% 초과)
- 재산: 4억 5천만 원
- 취업 경험: 최근 2년 이내 취업 경험 없음
⇒ D씨는 소득 기준을 초과했으므로 선발형(비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결론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은 취업 경험이 부족하거나 전혀 없는 구직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중위소득 60% 이하, 재산 4억 원 이하(청년은 5억 원 이하)라는 기준을 충족하면 참여할 수 있으며, 월 5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과 다양한 취업지원 서비스를 통해 구직활동과 생활 안정을 동시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워크넷 구직 등록 및 제도 안내 동영상 이수 후 필요 서류를 준비해 신청 절차를 진행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고용센터 방문 또는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총정리 : 참여 대상 및 혜택 소개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저소득층 구직자를 위한 생계 지원과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실업부조입니다. 이 제도는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eco.economical-life.com
2025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에게 희소식입니다! 2025년에도 중소기업 취업청년 소득세 감면 혜택이 지속됩니다. 이 제도는 청년 근로자의 소득세 부담을 줄이고, 중소기업 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eco.economical-life.com
실업급여 조기 재취업 시 조기 재취업수당 지급 조건과 신청 방법
조기재취업수당은 실업급여 수급자가 빠르게 재취업하여 고용보험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고 재취업을 한 수급자에게 지급되는 혜택입니다. 이 글에서
eco.economical-life.com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 FAQ
Q1.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비경제활동)의 연령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1. 만 15세에서 69세까지의 구직자가 대상입니다.
Q2. 가구 소득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2.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4인 가구의 중위소득 60%는 약 3,658,200원입니다.
Q3. 재산 기준은 무엇인가요?
A3. 가구의 재산 합계는 4억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청년(만 15세~34세)의 경우 5억 원 이하까지 가능합니다.
Q4. 취업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에도 신청할 수 있나요?
A4. 네, 취업 경험이 전혀 없거나 최근 2년 이내에 100일 미만 또는 800시간 미만의 근무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Q5. 구직촉진수당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A5.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원되며,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1인당 10만 원씩 최대 40만 원까지 추가 지급이 가능합니다.
Q6. 취업지원서비스에는 어떤 프로그램이 포함되나요?
A6. 취업 상담,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클리닉, 모의 면접, 직업훈련 프로그램 및 현장 실습 기회 등이 포함됩니다.
Q7.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7. 워크넷에 구직 등록 후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하거나, 고용센터를 방문해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Q8. 제출해야 할 필수 서류는 무엇인가요?
A8. 취업지원 신청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서 등이 필수입니다. 추가로 소득 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증빙 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9.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는 무엇인가요?
A9. 주 30시간 이상 근무자, 구직급여 수급자, 생계급여 수급자 등은 참여할 수 없습니다. 단, 주 30시간 미만 근로자는 조건부 참여가 가능합니다.
Q10. 구직촉진수당 지급이 중단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
A10. 취업활동계획을 이행하지 않거나, 구직활동 프로그램에 불참하는 경우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지원금 & 정책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과 2유형 비교 : 자격, 혜택, 신청 방법 (0) | 2025.01.15 |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선발형(청년특례) 기준, 자격, 혜택 및 신청 방법 (0) | 2025.01.15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요건심사형 기준, 자격, 혜택 및 신청 방법 (0) | 2025.01.14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지원 대상 및 조건 (0) | 2025.01.14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조건, 자격, 혜택 및 신청 방법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