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돌봄서비스와 양육수당(또는 부모급여)은 일부 서비스 유형에서 중복 수혜가 가능하지만, 영아종일제 서비스의 경우 중복 수혜가 불가능합니다. 아래 글에서는 중복 수혜 가능 서비스 및 제한 사항을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시간제 아이돌봄 서비스와 양육수당 중복 수혜 가능 여부: 가능시간제 아이돌봄 서비스는 부모가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할 때, 필요한 시간에 맞춰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정부지원 자격에 해당되는 경우, 부모급여 또는 양육수당을 수급하면서도 시간제 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시간제 서비스는 일반적인 가사활동이 제외되며, 놀이, 학습 보조 등 아이돌봄과 관련된 활동을 지원합니다. 2. 영아종일제 서비스와 양육수당 중복 수혜 가능 여부: 불가능영아종일제 서비스는 만 ..

아이돌봄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생후 3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영아를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가정을 방문하여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의 맞벌이, 출산, 장기 입원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유용하며, 이유식 준비, 기저귀 교체, 건강 상태 관찰 등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돌봄 영아종일제 서비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아종일제 서비스 지원 조건 1. 서비스 대상연령 조건: 생후 3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영아생후 3개월 미만 영아는 이용 가정의 동의서 및 계약서 명시를 통해 서비스 이용 가능 2. 소득 기준에 따른 지원 유형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가구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율이 달라집..

아이돌봄서비스 마형("마" 유형)은 기준 중위소득 200% 초과 가구 또는 전업주부 가정 등 정부 지원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가구를 위한 유형으로 2025년부터 지원대상에 추가가되었습니다. 마형에 해당하는 가정은 정부 지원 없이 100% 본인 부담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아종일제, 시간제 서비스, 질병감염 아동지원 등 모든 유형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다자녀 가정이나 특정 상황에 따라 일부 할인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돌봄서비스 마형의 기준, 혜택, 비용 및 신청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마" 유형 소득 기준 및 조건 1. 소득 기준마형 기준: 기준 중위소득 200% 초과 또는 정부 지원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가구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약..

아이돌봄서비스 라형("라"유형)은 기준 중위소득 150% 초과 ~ 200% 이하 가구가 받을 수 있는 유형으로, 최대 10%의 정부 지원을 제공합니다. "라" 유형은 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정이지만 여전히 양육 공백 해소를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로 다행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등 양육 부담이 큰 가정은 본인 부담금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돌봄서비스 "라"형의 소득 기준, 지원 혜택, 요금, 신청 방법 및 주요 유의사항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라형 소득 기준 및 양육공백 조건 1. 소득 기준라형 소득 기준: 중위소득 150% 초과 ~ 200% 이하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약 1,120만 원 이하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기준으로 산정..